하세가와 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세가와 시로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1905년 군마현에서 태어났다. 고등소학교 졸업 후 생선 장수를 하다가 정계에 입문하여, 군마현의회 의원 등을 거쳐 1949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민주당, 개진당 등을 거쳐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통상산업정무차관, 농림상, 중의원 부의원 등을 역임했다. 시나 에쓰사부로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1986년 정계 은퇴 후 폐섬유증으로 사망했다. 그는 군마현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에 명예 군마현민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농림대신 - 와다 히로오
와다 히로오는 일본 농림성 관료 출신으로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농림상으로 제2차 농지 개혁을 주도하고, 이후 일본사회당에서 당내 좌파를 이끌며 현실주의 노선을 추구한 정치인이다. - 일본의 농림대신 -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 시게루는 친미·친영 성향으로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 체결을 주도하고 경제 재건 중심의 '요시다 독트린'을 추진하여 일본 고도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며 네 차례 총리를 역임했다. - 일본의 건설대신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일본의 건설대신 - 노다 우이치
노다 우이치는 일본의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대장차관, 건설상, 행정관리청 장관, 경제기획청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군마현 출신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군마현 출신 - 우치다 아야
우치다 아야는 2008년 데뷔하여 《키디 걸랜드》 주연, 《러브라이브!》 μ's 활동으로 인기를 얻은 일본의 여성 성우이자 가수로, 2014년 솔로 데뷔 후 음반 발매와 라이브 투어, 애니메이션 및 게임 캐릭터 연기, 내레이션, 라디오 진행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세가와 시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곡천 사낭 |
원어명 | 長谷川 四郎 |
로마자 표기 | Hasegawa Shirō |
출생일 | 1905년 1월 7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군마현 야마다군 |
사망일 | 1986년 8월 7일 |
출신 학교 | 오마마 고등소학교 |
전직 | 군마현 의원 |
소속 정당 | 민주당 국민민주당 개진당 일본민주당 자유민주당 |
칭호 및 훈장 | 훈1등욱일대수장 정3위 중의원 영년재직의원 군마현 명예현민 |
세습 여부 | 무 |
배우자 | 기쿠 |
별명 | 시로상 |
관직 | |
직책 | 제40대 건설대신 |
내각 | 후쿠다 다케오 내각 |
취임일 | 1976년 12월 24일 |
퇴임일 | 1977년 11월 28일 |
의회 부의장 | |
직책 | 제50대 중의원 부의장 |
취임일 | 1972년 1월 29일 |
퇴임일 | 1972년 11월 13일 |
의장 | 후나다 나카 |
농림대신 | |
직책 | 제40대 농림대신 |
내각 | 제2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취임일 | 1968년 11월 30일 |
퇴임일 | 1970년 1월 14일 |
국회의원 | |
직책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 구 군마 2구 |
당선 횟수 | 14회 |
취임일 | 1949년 1월 24일 |
퇴임일 | 1986년 6월 2일 |
퇴임 사유 | 은퇴 |
이미지 | |
![]() |
2. 생애
하세가와 시로는 1905년 군마현에서 태어나 가난한 환경 속에서 고등소학교까지만 졸업했다. 젊은 시절 생선 장수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하다 기류시상공회의소 부회장, 군마현의회 의원 등을 거쳐 정치에 입문했다. 1949년 총선에서 당선된 후, 민주당, 개진당을 거쳐 1955년 보수합동 이후에는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했다.[1]
정치 경력 동안 통상산업정무차관, 중의원 상공위원장·농림수산위원장,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68년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에서 농림상으로 처음 입각했고, 1972년에는 중의원 부의장을 역임했다. 같은 해 후쿠다 다케오 내각에서 건설상으로 입각했다.
시나 에쓰사부로의 측근으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시나 재정 당시에도 힘을 보탰다. 당내에서는 섬유족 의원으로 활동했다. 나카가와 이치로 사후에는 후쿠다 다케오가 이끄는 청화회에 가입했다. 1986년에 정계에서 은퇴했고, 같은 해 8월 7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군마현 명예 현민으로 추대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정계 입문
하세가와 시로는 1905년 1월 7일 군마현 야마다군에서 태어났다. 집안이 가난하여 고등소학교까지만 나왔고, 이 때문에 일찍부터 정치에 뜻을 두었다. 젊었을 때는 생선 장수로 생계를 유지하다가 정계 진출을 위해 기류상공회의소 부회장, 군마현의회 의원 등을 거쳤다. 1949년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됨으로써 정치인의 꿈을 이루었다.[1]소속 정당은 민주당, 개진당을 거쳐 1955년 보수합동 이후 자유민주당이었다. 처음엔 기시 노부스케 파벌에 속했다가 분열 이후 가와시마 쇼지로-시나 에쓰사부로 파벌에 속했다.
2. 2. 자민당 활동 및 파벌 이력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된 후, 하세가와 시로는 기시 노부스케 파벌에 속했다가 파벌 분열 후 가와시마 쇼지로-시나 에쓰사부로 파벌로 옮겼다. 1967년 7월부터 군마현 지부 연합회장을 역임했다.[1]시나 에쓰사부로 사후, 나카가와 이치로 파벌의 최고 원로 의원으로서 나카가와를 총재로 추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84년 후쿠다 다케오가 이끄는 청화회에 합류했다.
2. 3. 장관 및 중의원 부의장 역임
1968년 11월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에 농림상으로 입각했다.[1] 12년 만에 생산자 쌀값 동결 및 제7회 미일 무역 경제 합동 위원회에서의 협상에 임했다.[1]1972년 중의원 부의장 아라후네 세이주로가 일본사회당과 일본공산당이 학생 운동을 부추겼다며 중상 발언을 한 것 때문에 부의장에서 물러나자 하세가와가 후임 부의장이 되었다.[1] 이후 10개월 만에 물러났고, 같은 해 12월 출범한 후쿠다 다케오 내각에서 건설상으로 입각했다.[1] 건설상으로서 기타칸토 자동차도 건설 등에 힘썼지만, 후쿠다 수상이 목표로 한 행정 개혁에는 정면으로 반대하는 자세를 보여 행정 개혁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1]
2. 4. 말년 및 사망
하세가와 시로는 1986년 정계를 은퇴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8월 7일에 폐섬유증으로 사망했다. 향년 81세. 생전에 군마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공을 인정받아 사후에 첫 번째 군마현 명예 현민이 되었다.[1]3.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실시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2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49년 | 군마현 제2구 | 민주당 | 33,740표 | 20.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2년 | 군마현 제2구 | 개진당 | 35,855표 | 19.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3년 | 군마현 제2구 | 개진당 | 35,239표 | 18.9%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5년 | 군마현 제2구 | 일본민주당 | 49,535표 | 25.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58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48,665표 | 24.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29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60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0,388표 | 26.07%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63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3,922표 | 27.0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67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5,283표 | 32.3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69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7,002표 | 27.45%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72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6,864표 | 25.0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76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58,105표 | 21.22%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79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96,414표 | 39.92%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80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97,338표 | 35.96%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제3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83년 | 군마현 제2구 | 자유민주당 | 67,892표 | 23.99%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4. 역대 직책
(이전 출력이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으면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